✅– ETF, 단순히 이름만 보고 고르셨나요?
ETF는 분산 투자도 가능하고 초보자에게 좋은 투자 상품이지만,
구성 종목을 제대로 보지 않고 고르면 생각보다 리스크가 클 수도 있어요.
저도 예전엔 ‘수익률 좋은 ETF’만 검색해서 매수 했는데,
요즘엔 구성 종목들을 PER, PBR로 하나씩 비교해보는 습관이 생겼어요.
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제가 투자 관심 있는 ETF의 구성 종목들을 비교해봤습니다!
📘 예시 ETF 선정 ( KODEX 반도체, TIGER 미국테크)
✔ 예시 1: KODEX 반도체 ETF
국내 대표 반도체 기업 중심 (삼성전자, SK하이닉스 등)
✔ 예시 2: TIGER 미국테크 TOP10 ETF
미국 빅테크 중심 (애플, 마이크로소프트, 엔비디아 등)
두 ETF 모두 인기 많고, 성장성이 높지만 구성 종목들의 PER, PBR은 상당히 다릅니다.
🔍 구성 종목의 PER·PBR 비교 (표 정리 포함)
종목명 | PER | PBR | 비고 |
---|---|---|---|
삼성전자 | 14.2배 | 1.25배 | 안정적 가치주 |
SK하이닉스 | 26.3배 | 1.85배 | 경기 민감형 반도체 |
애플 (Apple) | 28.1배 | 46.3배 | 고PER, 고PBR 성장주 |
엔비디아 | 41.7배 | 55.8배 | 고성장 기대 기술주 |
이렇게 보면,KODEX 반도체는 PER과 PBR이 상대적으로 낮고,
자산 대비 주가가 안정적인 편이에요.
반면 TIGER 미국테크는 성장성은 높지만 밸류에이션 부담도 큼을 알 수 있죠.
💡 꿀부1999 초보자가 생각하고 느낀 점 입니다.
처음엔 “ETF니까 골고루 분산돼서 괜찮겠지”라고 생각했지만,
ETF도 결국 '어떤 기업으로 구성이 되어있는'가 핵심이라는 걸 느꼈어요.
ETF 구성 종목을 PER,PBR기준으로 비교 분석하면 초보 투자자도 저평가/고평가
구분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.
PER이 낮다-현재 주가가 이익대비 싸다-저평가 가능성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.
PBR이 낮다-자산가치 대비 -주가가 낮다-안정적 자산주 일 가능성기업이라고 생각 합니다.
하지만 단순 숫자만 보면 안되고 , 성장성 .산업 특성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.
PER과 PBR은 구성 종목의 '현재가치'를 평가하는 좋은 지표라고 생각 합니다.
저는 이제 ETF를 매수 할 때 PER. PBR 은 기업의 '가격'이 비싼지 싼지 보는 도구라고
생각하게 되었습니다. ETF를 매수 할땐 전체 구성 종목군의 평균 PER.PBR이
어떤 수준인지 확인하면 ETF가 고평가인지, 저평가인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예를 들어 현대차.SK하이닉스.삼성전자.등은 KODEX 200 ETF 상위 구성 종목에 포함되어있어,
한국 주식시장의 대표적인 대형주라고 할 수 있습니다.
각 기업의 PER (주가수익율)과 PBR(주가수준자산비율)을 비교하면
투자에 관심 있는 기업이 저평가된 종목인지를 판단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.
#다음사항들을 구체적으로 비교해 보면 투자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있는 내용입니다.
- 구성 종목 Top 5만이라도 PER/PBR 체크
- 전체적으로 저평가인지 고평가인지 감 잡기
- ETF 성격 (가치 vs 성장) 파악
- *삼성전자 (IT/수출.저평가.대형주)
- *SK하이닉스 (반도체,경기민감,성장형)
- *현대차,기아(제조업,가치주 성격)
- *POSCO홀딩스(철강,가치주 대표)
📝 꿀부1999 생각 + 다음 주제
PER과 PBR은 개별 종목뿐 아니라 ETF 분석에도 정말 유용하더라고요.
PER/PBR 수준이 전체적으로 낮고, 전통 제조업 비중이 높은 가치주 성격이 강한편
입니다. 하지만 SK하이닉스처럼 성장주 요소도 포함되어 있어요. "가치+일부 성장형" ETF
투자를 한다면 배당 안정성과 저평가 종목 중심 KODEEX 200처럼 가치ETF에 관심을
가져볼까 합니다. 또한 미래 성장 기대주 TIGER K-성장기업.ARIRANG성장 ETF등도
참고하여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.
다음 글에서는 환율과 주식의 관계에 대해 다뤄보려고 해요.
요즘 달러 강세 이슈도 많고, 해외 ETF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부분이니까요!
같이 경제 상식 넓혀가봐요.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.
'경제.IT.금융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플레이션과 인공지능, 이 둘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? (3) | 2025.04.26 |
---|---|
#환율·금리·인플레이션… 이 3가지만 알아도 경제 뉴스가 쉬워진다# (2) | 2025.04.25 |
원달러 환율 오르면 삼성전자 주가는? “ (4) | 2025.04.25 |
PBR로 기업의 자산 가치를 본다? PER과의 차이점 쉽게 이해하기 (0) | 2025.04.24 |
ROE 란 무엇인가요? (2) | 2025.04.24 |